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as Medicine/Way to Stay Healthy

연속혈당기 결과지의 해석. - 누적혈당 데이터

by 야너건 2024. 3. 9.
728x90
반응형

센서 사용 기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를 누적혈당데이터라고 합니다.

검사 결과를 보면

목표범위내 비율(Time in Range, TIR),

혈당 변동성(Glycemic variation, GV),

평균혈(Average of Glucose)와 같은 표현들이 나오는데요.

각각에 대해 알아볼께요.

  1. 목표범위내 비율(TIR)

일반적으로 혈당의 목표 범위는 70~180mg/dL입니다.

혈당 데이터ㄴ를 누적하는 기간 동안

그 범위에 있던 시간의 비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TIR이 70% 미만이라면

저혈당, 고혈당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혈당 조절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2. 혈당변동성

혈당이 변화하는 정도입니다.

정확하게는 표준편차를 산술 평균으로 나눈 것인데.

평균에 비해 편차가 얼마나 크냐.. 대충 이런 의미입니다.

말이 복잡하니까 그냥. 혈당이 크게 널뛰기를 하면

변동성이 높다는 의미이고,

음식을 먹건 안먹건 큰 차이 없이 비슷비슷하면

변동성이 작다는 의미입니다.

파도의 높낮이가 크냐 작냐인데.

평균 혈당이 낮더라도 변동성이 크면 좋지 않아요.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선호하거나 폭식하면 혈당 스파이크가 생기고,

인슐린에 의해 뚝 떨어지면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평균혈당

정상은 70-126mg/dL입니다.

하지만 가급적 100mg/dL 이하가 좋아요. (당화혈색소로 5.1%입니다.)

당뇨병 치료중으로 7% 미만으로 조절하고 있다면

154mg/dL을 목표로 하면 됩니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6.5%를 목표로 한다면 140mg/dL을 목표로

하면 됩니다.

당화혈색소를 평균혈당으로 바꾸려면

28.7 x 당화혈색소 -46.7을 하면 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