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fishoil3

오메가-3; 피쉬 오일(생선기름) vs 크릴 오일 오메가-3; 피쉬 오일(생선기름) vs 크릴 오일 ​ 크릴 오일 드신다는 분들이 꽤 많으시더라구요. 오늘은 크릴 오일에 대해 알아봅니다. 보통 예전에 먹는 오메가-3들은 어유(Fish Oil)라고 해서 정어리, 연어, 고등어, 청어, 그리고 멸치 같이 차가운 바다에서 사는 지방이 많은 생선에서 추출한 것이구요. ​ 크릴오일은 플랑크톤을 먹고 자란 크릴 새우에서 추출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은 것은 어유에요. 기름의 30% 정도가 오메가-3 지방산이구요. 크릴 오일의 경우에는 14%정도만 오메가-3 지방산입니다. 대신 흡수율은 크릴 오일이 더 높아요. 라벨에 적혀있는 오메가-3 함량이 동일하다면, 크릴 오일이 흡수가 더 잘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또 다른 차이점은 오염에 대한 것인데요. 크릴새우는.. 2021. 10. 18.
rTG 오메가-3; 무조건 rTG가 짱? rTG 오메가-3; 무조건 rTG가 짱?? ​ 자연 상태의 생선 기름은 오메가-3의 비율이 30% 밖에 되지 않아서 ​ 에탄올을 넣고 증류하거나 초임계 저온 추출을 해서 오메가-3의 비율이 높은 에틸에스터 형태의 오메가-3를 만들었는데요. ​ 문제는 흡수율이 자연 상태의 오메가-3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에틸에스터 형태의 오메가-3를 다시 자연 상태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변형시킨 것이 r-TG 오메가-3 입니다. ​ 에틸에스터 형태의 단점인 흡수율 문제와 자연상태의 오메가-3의 단점인 낮은 오메가-3비율 문제를 모두 해결한 형태입니다. ​ ​ 그런데, 아무래도 여러 과정을 거치다보니 가격이 비싼 것이 흠입니다. ​ ​ ​ 이론적으로는 모든 단점을 극복한 rTG 오메가-3가 가장 좋아.. 2021. 10. 18.
오메가-3; 병원에서 처방 받을까? 아니면 영양제로 사먹을까? 오메가-3; 병원에서 처방 받을까? 아니면 영양제로 사먹을까? ​ 알파와 오메가. 그리스 알파벳의 첫글자와 마지막 글자여서, 보통 시작과 끝. 전부를 말할 때 알파와 오메가라고 합니다. ​ 지방산은 탄소가 길게 연결되어 있는 모양인데요. 그 첫번째 탄소와 마지막 탄소도 알파와 오메가입니다. 그래서 알파부터 탄소 이름을 붙일 때는, 알파, 베타, 감마... 이런 식이구요 반대쪽에서부터 이름을 붙일 때는 오메가-1, 오메가-2, 오메가-3.. 이렇게 이름을 붙여요. 보통 오메가-3 지방산이라고 하면, 오메가-3 탄소 위치에 이중 결합이 있는 지방산을 말합니다. 지방산은 보통 글리세롤 골격에 결합되어 있는데요. 이 골격 하나에 지방산이 3개씩 붙어 있고,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 합니다. ​ 그래서 생선 기름을 짜.. 2021. 10.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