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Probiotics8

유산균에서 확인해야 하는 6가지 좋은 컨텐츠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발적 후원을 받고 있어요. 아래 클릭하시면 이동됩니다. 자발적 후원하기 토스아이디 toss.me 오늘은 유산균을 드실 때 확인해야 하는 6가지에 대해 말씀드려요. ​ 1) 왜 먹는지 일단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어떤 유산균은 소화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반면, 어떤 유산균은 질내 세균 균형에 도움을 줍니다.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유산균도 있고, 아토피에 도움을 주는 균도 있어서, 각각의 목적에 맞는 균을 복용해야 합니다. ​ 2) 효과가 임상 연구로 입증되었어야 합니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잘 설계된 임상연구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다만, 소비자가 이런 내용들을 모두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가급적 의사 선생님과 상의해서 드시길 권해드려요. 인터넷에.. 2023. 12. 4.
세레바이옴, CEREBIOME을 소개합니다. 전에 말씀드린 사이코바이오틱스(psychobiotics) 중에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전에는 Probio'Stick이라고 했었습니다. CEREBIOME은 매우 혁신적이고 독특한 유산균 배합으로, 랄망의 로셀 연구소에서 개발했습니다. (Rosell Institute for Microbiome and Probiotics by Lallemand) 가장 많이 연구된 유산균 조합으로, Lactobacillus helveticus Rosell-52와 Bifidobacterium longum Rosell-175로 구성됩니다. 5건의 임상 연구가 있었고, 그 중 2건은 건강한 사람, 3건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그리고 9건의 예비 임상이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CEREBIOME은 분노와 적대심 같.. 2023. 8.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osell-11 (2) 어제에 이어서 라시도필에 대해 계속 알아봅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에 대한 연구도 있었는데요. 오랫동안 과민성 대장 증후군 증상이 있던 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라시도필 투여 전, 후를 비교했습니다.$ ​ 배변 횟수도 감소하고, 무른 변이 나오는 횟수도 감소하고, 복부 불편감이나 가스 증상, 부글거림 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구요.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시 라시도필을 병용하게 되면 제균치료 성공률이 더 높아지고 합병증이 발생하는 비율도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또 유당불내성이 있는 경우에도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 ​ ​ 여성 건강 관련> 질 세포와도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구요. 바이오필.. 2022. 2. 25.
균주별 특성 요약, 그렇다면, 개별 균주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이번에는 간단하게 스케치식으로 알아보구요. 디테일한 내용들은 다음으로 미뤄둘께요. 본인이 드시는 유산균이 있다면, 라벨을 잘 확인해보세요. 만약 균주명이 있다면, 여기 있는 효과와 비교해보면 좋겠습니다. ​ 유산균은 균 종류가 워낙 많아서, 여기에 종류를 다 적는 것만으로도 너무 힘들꺼에요. 대략적인 내용이구요. 기회가 될 때마다 조금 더 디테일 한 내용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2022. 1. 10.
수입 유산균 라벨 읽는 법. 보통 영양제에는 라벨이 붙어있고, 거기에 성분이나 함량 등이 적혀있어요. ​ 우리나라는 '건강기능식품의 표시기준'이 있어서 라벨에 유통기한, 보관방법, 영양정보, 섭취량, 원료명과 함량 등을 표기하게 되어있습니다. 근데, 이런 표기 방식이 외국과는 조금 차이가 있긴 합니다. 유산균의 경우는 더 차이가 많이 나요. ​ 똑같은 제품의 국내 표기 방법을 보여드릴께요. 수입해서 겉에 라벨만 새로 부착해서 판매되는 제품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총 CFU를 표기하고, 원료명에 따로 개별 유산균들의 '속명'과 '종명'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종속과목강문계의 속명과 종명) 미국 표기는 다음과 같아요. 유산균별로 CFU가 따로 표기 되어 있습니다. (CFU는 복용시점까지 살아있는 유산균의 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찬.. 2022. 1. 7.
대장내시경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CF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CFM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1972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했던 유산균이에요. 연구가 가장 많이 되어있는 유산균 중 하나입니다. ​ 대장내시경 검사후에,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해서는 대장 내에있는 대변을 비워야 하는데요. 검사 전날 전처치 과정을 통해 대변을 비워내게 됩니다. 이 때 설사를 계속 하게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장내세균들이 많이 사라지게 되면서 정상적인 장내 환경이 무너지게 됩니다. 검사 전후로 장내 환경이 크게 변화하게 되면서. 평소 복통이 있던 분들은 검사 후에 증상이 다소 호전되기도 하지만, 정상적이었던 분들 중에서는 검사 후에 가스 증상이나 불편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L. acidophilus NCFM이 도움이 .. 2022. 1. 6.
유산균은 다 같을까요? - 특정균주명이란.. 종속과목강문계... 기억나시나요? 중학교 생물시간에 나오던건데, 너무 오래되서 잘 기억이 안 나실꺼에요. 이런게 기억이 안난다고 치매는 아니니 너무 걱정은 안 하셔도.. 칼 폰 린네(Cal Von Linne)라는 사람이 만들었습니다. 1735년 '자연의 체계'를 통해 자연계를 동물계, 식물계, 광물계로 분류하고, 생물을 범주화해서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했습니다. 대항해시대를 거치면서 세계 각지의 동식물들이 발견(?) 되었구요. 이름 없는 풀이나 동물들에게 이름을 붙여야 했는데요. 이것들을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해 이름을 붙였습니다. 스페인의 마젤란 함대가 파푸아 뉴기니 근처의 몰루카 제도에 도착했을 때, 원주민에게 '다리 없는 새' 박제를 선물 받았고, 이 박제가 유럽에 왔을 때 사람들은 이 새의 정체에.. 2021. 12. 30.
역사 속 유산균들 최초의 백과사전인 박물지를 저술한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 https://lifestylemedicine.tistory.com/6?category=1226927 1세기 경(AD 77 전후), 플리니우스는 이 책에서 "the barbarous nations understand how to thicken milk and form there from an carid kind of liquid with pleasant flavor" ​ 그러니까 "야만인 국가들(아마도 당시 로마를 기준으로 말하는 거겠죠.?)은 우유를 걸쭉하게 만들고 즐거운 향이 나는 매콤한 액체를 만드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요구르트에 대한 최초의 기술로 알려져 있구요. ​ 플리니우스도 종종 배가 .. 2021. 12.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