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yspepsia3

기능성 소화불량증(6) - 산분비 억제제 위는 정상적으로 산을 분비합니다. 세균은 보통 산성에 취약해서, 위에서 나오는 위산에 의해 죽게 됩니다. 만약 위산이 잘 분비되지 않는다면, 위는 세균이 자라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음식이 많고, 산소도 많고, 따뜻하고..... ​ .. 그런데 이런 위산들은 십이지장을 자극하게 됩니다. 내장과민성이 있는 분들은, 위산이 십이지장에 넘어오게 되면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고 그래서 위산분비억제제를 사용하면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표적으로 히스타민 차단제와 프로톤펌프 억제제로 나눌 수 있는데요. 히스타민 차단제의 경우 주로 밤에 산분비 억제 효과가 더 크구요. 반대로 프로톤 펌프 억제제의 경우 낮에 효과가 더 큽니다. ​ 히스타민 차단제의 경우 초기부터 강력한 효과를 내는 반면, 2주 정도가 지.. 2022. 6. 8.
기능성 소화불량증(5) - 치료는..? 어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치료는 그 과정 하나 하나를 교정하는 방향으로 이뤄집니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크게 나눠보면, 1) 식후고통증후군 2) 명치통증증후군.. 이구요. ​ 식후고통증후군은 어제 말씀드린 '위의 적응장애'와 '위배출 지연'이 주된 원인입니다. ​ 적응장애를 위해서는 위의 천장 쪽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방광도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요. 과민성 방광이나 야뇨증이 그렇습니다. 방광이 잘 이완되지 않아 조금만 소변이 차도 소변을 보고 싶어지는데, 정작 나오는 양은 많지 않아서, 방광을 이완시켜주는 약들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그런데, 이런 약들은 정식으로 소화불량에 허가사항이 있진 않아요. 우울증, 불안증이나 두통 치료에 쓰이는 .. 2022. 6. 8.
기능성 소화불량증(3) - 내시경을 해야하나요? 기질적 원인이 없어야 기능성 소화불량증이기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통해 암이나 궤양 같은 것들을 배제하는 것이 맞습니다. ​ 하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실제 검사를 해서 암이나 궤양 같은 이상 소견이 나올 가능성이 1% 미만이었습니다. (위염이나 식도염 등은 제외하고.. 중증도가 낮다보니.) ​ 그래서 미국과 캐나다는 일괄적으로 내시경을 권고하기보다는 소화불량으로 온 환자가 60세 이상이면 위내시경 검사를 하고, 60세 미만인 경우에는 요소호기검사나, 대변내 항체 검사와 같은 내시경이 아닌 검사를 통해 헬리코박터균을 먼저 검사하고 균이 있는 경우, 이를 먼저 치료하는 '검사후 치료(test and treat)'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 일단, 미국과 캐나다는 의료비가 비싸고, 내시경 검사에 대한 접근성이.. 2022. 6.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