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train3

균주별 특성 요약, 그렇다면, 개별 균주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이번에는 간단하게 스케치식으로 알아보구요. 디테일한 내용들은 다음으로 미뤄둘께요. 본인이 드시는 유산균이 있다면, 라벨을 잘 확인해보세요. 만약 균주명이 있다면, 여기 있는 효과와 비교해보면 좋겠습니다. ​ 유산균은 균 종류가 워낙 많아서, 여기에 종류를 다 적는 것만으로도 너무 힘들꺼에요. 대략적인 내용이구요. 기회가 될 때마다 조금 더 디테일 한 내용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2022. 1. 10.
수입 유산균 라벨 읽는 법. 보통 영양제에는 라벨이 붙어있고, 거기에 성분이나 함량 등이 적혀있어요. ​ 우리나라는 '건강기능식품의 표시기준'이 있어서 라벨에 유통기한, 보관방법, 영양정보, 섭취량, 원료명과 함량 등을 표기하게 되어있습니다. 근데, 이런 표기 방식이 외국과는 조금 차이가 있긴 합니다. 유산균의 경우는 더 차이가 많이 나요. ​ 똑같은 제품의 국내 표기 방법을 보여드릴께요. 수입해서 겉에 라벨만 새로 부착해서 판매되는 제품입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총 CFU를 표기하고, 원료명에 따로 개별 유산균들의 '속명'과 '종명'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종속과목강문계의 속명과 종명) 미국 표기는 다음과 같아요. 유산균별로 CFU가 따로 표기 되어 있습니다. (CFU는 복용시점까지 살아있는 유산균의 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찬.. 2022. 1. 7.
유산균은 다 같을까요? - 특정균주명이란.. 종속과목강문계... 기억나시나요? 중학교 생물시간에 나오던건데, 너무 오래되서 잘 기억이 안 나실꺼에요. 이런게 기억이 안난다고 치매는 아니니 너무 걱정은 안 하셔도.. 칼 폰 린네(Cal Von Linne)라는 사람이 만들었습니다. 1735년 '자연의 체계'를 통해 자연계를 동물계, 식물계, 광물계로 분류하고, 생물을 범주화해서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했습니다. 대항해시대를 거치면서 세계 각지의 동식물들이 발견(?) 되었구요. 이름 없는 풀이나 동물들에게 이름을 붙여야 했는데요. 이것들을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해 이름을 붙였습니다. 스페인의 마젤란 함대가 파푸아 뉴기니 근처의 몰루카 제도에 도착했을 때, 원주민에게 '다리 없는 새' 박제를 선물 받았고, 이 박제가 유럽에 왔을 때 사람들은 이 새의 정체에.. 2021. 12.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