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via Hunting/History

골뱅이 @ 이야기

by 야너건 2025. 5. 17.
728x90
반응형

 @골뱅이 – 이메일 시대를 연 기호의 탄생

 

1. � 너의 이름은? – 골뱅이, At sign

 

우리나라에선 흔히 ‘골뱅이(@)’라고 불러.

이는 기호가 달팽이처럼 생겼다 → 소라 → 골뱅이로 이어진 별명이지.

영어권에선 at sign 또는 단순히 “at”이라고 불러.

 

언어권마다 다르게 부르는데, 예를 들어:  

    프랑스: arobase (~에)  

 

    이탈리아: chiocciola (달팽이)  

 

    독일: Klammeraffe (꼬리친 원숭이)  

 

    중국: 老鼠 (쥐)  

 

 

 

2. �️ 어디서 왔니? – 기호의 기원

 

 

 

기원은 상업 문서에서의 "at the rate of"

 

예>

 

 

            7 widgets @ $2 = $14 → “개당 2달러에 7개”          

 

            apple 15 @ 2$ = 사과 15개에 2달러..          

 

 

 

 

@의 이름은 Arroba

 

아랍어 ar-roub(1/4)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

 

적어도 16세기 초부터 국제 무역, 특히 이탈리아, 프랑스, 이베리아 반도 등에서

 

측정 용어로 사용됨.

 

여전히 arroba는 무게 단위로도 쓰이는데 

 

지역에 따라 23~27.5파운드까지 다양(10.4~12.5kg)하게 쓰임.

 

이 arrob를 줄여서 @로 표기

 

 

 

중세 스페인 상인들이 @를 무게 단위인 arroba(~에)에서 사용했고,

 

이 말이 프랑스어 'arobase'(~에)로 들어가 지금도 쓰이고 있어.

 

 

 

최초 문헌 기록: 14세기 상업 기록에서 확인됨.

 

 

 

 

 

3. � 시대의 전환점 – @, 이메일을 만나다

 

 

 

1971년, 미국 엔지니어 Ray Tomlinson이 이메일 주소 체계를 만들며

 

사용자와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를 도입.

 

 

            예: user@host.com          

 

이 선택 하나로, @는 전 세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이 되었어.

 

 

 

4. � SNS와의 재회 – mention의 탄생

 

 

 

Twitter, Instagram, Facebook 등에서 @는 누군가를 언급(mention)할 때 사용됨

 

 

            예: @kidukkim은 특정 사용자를 호출하는 행위          

 

 

@는 이제 소셜 소통, 디지털 존재감을 상징하게 되었지.

 

 

 

 

 

5. � 기호의 문화적 상징

 

 

 

디지털 정체성의 상징

 

 

            누구든 하나쯤은 @가 들어간 아이디를 갖고 있어.          

 

 

지속적 연결의 상징

 

 

            메일, SNS, 포럼, 게임… @는 항상 ‘누군가와 연결되는 기호’          

 

 

디자인 요소로도 매력적

 

 

            곡선과 회전이 주는 미적 요소로 타이포그래피에서도 자주 응용돼.          

 

 

 

 

 

6. � 마무리: 기호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는 단순히 이메일을 위한 기호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털 고리야.

 

골뱅이 하나로 지구 반대편 친구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대,

 

그 중심엔 바로 이 작지만 강력한 기호가 있어.

 

 

 

 

 

#골뱅이 #at_sign #앳사인 #arroba #애로바 #아로바 #at

 

728x90

'Trivia Hunting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0) 2025.04.26
마하트마 간디  (2) 2025.04.24
스탈린  (0) 2025.04.24
주원장.  (0) 2025.04.23
적은 혼노지에 있다. てきは ほんのうじ に あり  (1) 2025.04.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