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as Medicine/Patient Information

지방간! 몇 잔까지 비알코올성, 몇 잔 부터 알코올성?

by 야너건 2024. 8. 9.
728x90
반응형

비알코올성이란 말은 일단 술과 무관하다는 뜻이구요.

술을 많이 마시면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질환이 오는 것이 당연하지만.

술을 마시더라도 조금만 마시는 경우에는

그것때문에 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오지는 않습니다.

그럼 얼만큼이 조금만이냐는 문제가 생기는데요.

최근 2년을 기준으로

남자는 1주일에 210g, 여자는 1주일에 140g이 넘으면

의미있는 알코올 섭취량으로 보고,

그 정도로 많이 마시지 않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를

비알코올성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알코올 210g, 140g이면 대략 어느 정도일까요?

16.5도 소주 1병(360mL)에는 약 60g(59.4g)정도가 들어있어요.

소주는 한 잔이 50mL이니까. 한 병에 약 7.2잔이 나오고

한 잔에 들어있는 양은 8.25g정도가 됩니다.

남자는 1주일에 소주 3.5병(약 25잔) 이상

여자는 1주일에 소주 2.3병(약 17잔) 이상 마시면서

지방간 질환이 있는 경우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고

그 이하로 마시는 경우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주일에 2번 정도 마시는데 한 번에 2병씩 마시는 남성의 경우

1주일에 총 4병으로 알코올성에 해당하고,

1주일에 3번 정도 마시는데 한 번에 1병 정도 마시는 경우는

1주일에 총 3병으로 비알코올성에 해당합니다.

맥주의 경우에는 1캔이 330cc이고,

보통 4%정도이므로 1캔에 알코올 양은 10.6g 정도가 됩니다.

1주일에 14캔을 마시면 140g이 넘어가므로 알코올성에 해당합니다.

다만 맥주는 도수(%)가 차이가 크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알코올 중량(g)은 용량(cc) x 0.8(알코올의 비중) x 도수(%)로 계산하면 됩니다.

요즘은 맥주도 7%짜리도 있더라구요.

7%짜리 500mL 1캔의 경우에는

500(mL) x 0.8 x 0.07 = 28g으로 한 잔에 28g이나 됩니다.

이런 맥주는 5개만 마셔도 140g이기 때문에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됩니다.

#알코올성지방간질환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알코올중량계산 #맥주 #소주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