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as Medicine/Patient Information

콜레스테롤 관리! 목표 수정!! 2022 update,

by 야너건 2022. 7. 12.
728x90
반응형

2022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 5판에서,

위험도에 따른 나쁜 콜레스테롤(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의

목표치가 변경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바뀐 권고안은 유럽과 미국의 지침을

많이 고려한 내용으로 보이고, 전체적으로 조금 더 엄격해졌습니다.

주요위험인자는

1) 나이(남자는 45세 이상, 여자는 55세 이상),

2) 관상동맥 조기질환 가족력

- 부모형제중에 55세 미만 남성,

- 또는 65세 미만 여성에서 발생한 경우.

3) 고혈압(140/90mmHg 이상 또는 약물치료중인 경우)

4) 흡연

5) 낮은 HDL-C (40mg/dL 미만)

위험요인이 없거나 하나인 경우에는 저위험군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중등도 위험군으로

저위험군에서는 160mg/dL 미만을,

중등도 위험군은 130mg/dL 미만을 목표로 합니다.

여기까지는 2018년과 동일.

고위험군에서 변화가 조금 있었는데요..

경동맥질환, 복부 동맥류,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고위험군이며,

이전에는 100mg/dL 미만을 목표로 했었는데,

바뀐 권고안에서는

경동맥질환 또는 복부동맥류가 있는 경우,

70mg/dL 미만이면서 처음 수치 대비 50% 이상 감소를 목표로하며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당뇨병의 경우에는 세 그룹으로 나눠서

1) 표적장기 손상이 있거나 위험요인이 3가지 이상인 경우

- 55mg/dL 미만이면서 기저치 대비 50%이상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2) 당뇨병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이거나 위험인자가 1-2개인 경우

- 70mg/dL 미만

3) 유병기간이 10년 미만이면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 100mg/dL 미만을 목표로 합니다.

초고위험군은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성 허혈성뇌졸중,

일과성뇌허혈발작, 말초동맥질환 등이 있는 경우,

기존 권고안에서는 70mg/dL 미만을 목표로 했지만,

바뀐 권고안에서는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

- 55mg/dL 미만이면서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

죽상경화성 허혈성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발작, 말초동맥질환이 있는 경우

- 70mg/dL 미만이면서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

표적장기 손상은?

고혈압으로 인한 주요 장기의 손상을 말하며,

좌심실비대, 단백뇨, 망막병증, 혈관성 치매 등이 해당됩니다.

초고위험군에서 보다 엄격한 지질관리가 필요하다는 것과

당뇨병을 세 그룹으로 나눠 목표치를 달리 한 것이

이번 변경안의 특징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