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as Medicine/Patient Information

생리통. 도대체 왜 온몸이 아픈겨?

by 야너건 2022. 6. 28.
728x90
반응형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는데요.

이게 잘 안되면 혈액이 부족하다고 해서 '허혈'이 오고,

허혈로 인해 산소가 부족해 조직이 손상되면 '경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안 되면 심근경색,

뇌에 혈액 공급이 안 되면 뇌경색이라고 해요..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은

주로 혈관 안쪽이 좁아지면서 발생합니다.

생리통도 근육의 허혈에 의해 발생합니다.

자궁이 길게, 계속 수축하면서 근육에 허혈이 생깁니다.

실제로 49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생리 첫날 초음파(도플러)를 시행한 연구에서,

생리통이 있는 여성은 자궁동맥과 궁상동맥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궁상동맥은 자궁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구요.

저항이 증가하면 혈액이 잘 공급되지 않아요.)

생리가 시작하기 전에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하게 되면

세포막에 풍부한 인지질(주로 오메가-6 지방산)이 방출되고

이 인지질은 인지질 분해효소(phospholipase A2)에 의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라는 물질로 변환이 됩니다.

그래서 생리 시작하기 전 증식기의 자궁내막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아라키돈산이 포함되어 있고,

이 성분이 생리시기에

- 프로스타글란딘 F2α(PGF2α)

-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으로 변환됩니다.

PGF2α는 자궁수축과 생리통을 유발하는 주요 물질이며,

자궁내막의 PGF2α, PGE2 농도는

생리통의 강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자궁의 민무늬근 수축은

생리통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경련성이고,

돌발적인 하복부 및 허리 하부 통증을 유발하게 되구요.

자궁수축 압력이 혈액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허혈이 유발됩니다.

(손목에 피가 안통하게 막아서 하얗게 되는 것처럼요.)

산소공급이 안되면 무산소 대사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것들이 통증 뉴런을 자극해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런 프로스타글란딘은 자궁 뿐 아니라

장, 혈관, 폐 등에 존재하는 민무늬근 수축도 유발해

소화불량, 설사, 구역질, 구토, 고혈압, 기관지 수축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렇게 시작된 생리통은 생리 직전이나 생리와 함께 시작해

보통은 72시간(3일) 정도 지속됩니다.

일반적으로 일차성 생리통에 의한 통증은

간헐적이고, 강도가 다양하며, 치골부위를 중심으로

주변으로 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주기마다 비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 J Reprod Med 2005 Apr;50(4):251-5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