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via Hunting/History

역사 속 유산균들

by 야너건 2021. 12. 23.
728x90
반응형

최초의 백과사전인 박물지를 저술한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

 

https://lifestylemedicine.tistory.com/6?category=1226927

 

 

1세기 경(AD 77 전후), 플리니우스는 이 책에서

"the barbarous nations understand how to thicken milk

and form there from an carid kind of liquid with pleasant flavor"

그러니까

"야만인 국가들(아마도 당시 로마를 기준으로 말하는 거겠죠.?)은

우유를 걸쭉하게 만들고 즐거운 향이 나는 매콤한 액체를 만드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요구르트에 대한 최초의 기술로 알려져 있구요.

플리니우스도 종종 배가 아픈 사람들에게

이런 시큼한 발효 우유들을 처방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렇지만 그게 왜 효과가 있는지는 몰랐다고 해요.

아마도 플리니우스는 그런 치료 방법을 어디서 보았을 텐데.

백과사전을 저술하면서 기존의 자료들을 계속 정리했을테니까.

아마도 자신보다 400년 정도 앞서서

히포크라테스가 시큼한 우유를 사용했던 것을 보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질병이 장에서 시작된다라고 했구요.

"All disease begins in the gut" - 모든 질병이 장에서 시작한다.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시큼한 우유(sour milk)를 자주 처방했다는 기록이 있는 걸로 봐서

오래전 부터 요구르트를 사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히포크라테스는 당나귀의 우유를 이용했다고 하고,

플리니우스도 그랬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원전 만년에도 발효 음료가 있었고,

기원전 3천년에도 요구르트가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고 해요.

그 뒤로는 프랑수아 1세(Francis I) 이야기가 유명합니다.

프랑수아 1세가 프랑스의 의사들이 치료하지 못하는 설사로 고생할 때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Suleyman the Magnificent)가

그 소식을 듣고 자신의 주치의를 프랑수아 1세에게 보냈는데,

그 의사는 요구르트로 프랑수아 1세를 치료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요.

이 사건 이 후 요구르트가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여튼, 이런 일로, 요구르트나 그리스의 것이냐 터키의 것이냐는 늘 논란입니다.)

(왼쪽이 프랑수아 1세, 오른쪽이 슐레이만입니다. 당시 두 나라는 동맹국이었어요)

터키 의사가 사용한 것은 염소의 우유로 만든 요거트였다고 합니다.

그리스에서 먼저 먹었냐, 터키에서 먼저 먹었냐와 별개로.

이 요구르트(yogurt)라는 말은 '터키'말에서 왔습니다.

터키 말로 끈적한 우유(thick milk)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터키의 요구르트는 어쩌면 몽고의 크므즈(kumis)에서 왔는지도 모르겠네요..

내일은 크므즈부터..

728x90

'Trivia Hunting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띠라미수, pick me up!  (0) 2022.03.10
역사 속 유산균들(2)  (1) 2021.12.24
一飯千金, 일반천금  (0) 2021.10.25
Financier, 휘낭시에, 피낭시에  (0) 2021.09.03
Butades, 부타데스.. 그림의 기원  (0) 2021.09.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