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Style as Medicine/Patient Information

장유형? 혈액형처럼 장 유형이 있다구요?

by 야너건 2023. 5. 6.
728x90
반응형

2011년 4월. 네이쳐에 장유형이라는 것이 발표됩니다. *

제목은

'인간 장내미생물의 장유형(Enterotypes of the human gut microbiome)'

유럽인 22명, 일본인 9명, 미국인 2명을 대상으로 분석했고,

장 유형을 많이 나타나는 균에 따라

프리보텔라 형, 박테로이데스 형, 루미노코커스 형으로 나누었습니다.

성별, 체중, 나이, 국적과 무관하게 3가지 패턴을 보였지만

그 이유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같은 해 10월. 네이쳐의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언스'에

건강한 미국인 98명의 장내 미생물 분석 연구가 발표되고,

이것이 식습관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고 하였습니다.

탄수화물을 많이 먹는 경우에는 프리보텔라 형,

단백질, 동물성 지방을 많이 먹는 경우에는 박테로이데스 형으로 나타났으며,

루미노코쿠스의 경우에도 다시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이 후 많은 연구에서 거주 환경과 섭취 음식과의 연관성이 입증되었고,

단백질 섭취량이 많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우세하고,

식이 섬유 섭취가 많은 경우에는 프리보텔라가 우세했습니다.

대표적인 연구가 유럽 어린이와 아프리카 어린이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한 연구인데요.

유럽 어린이에서는 박테로이데스가 풍부한 반면

아프리카 어린이에서는 프리보텔라가 풍부했습니다. **

이것이 단순하게 인종의 차이라기 보다는

식습관과 환경의 영향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연구에서

더 입증이 되는데요,

같은 아프리카계(흑인)여도,

아프리카 원주민의 경우에는 프리보텔라가 많았던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미국 흑인)의 경우에는 박테로이데스가 많았습니다. ***

(타고난 유전적 특성보다는 먹는 음식과 환경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자신의 장 유형이 무엇인지가.

특정 음식을 더 잘 소화한다거나 하는 의미는 아닙니다.

각 유형에 특징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자세히 알아볼께요.

* Nature 473,174-180(2011)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ug 2010;14691-14696

*** AJCN May 2013:111-12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