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rivia Hunting89 공기원근법, 스푸마토 sfumato 도화지에 있는 모든 선과 점은 같은 평면 위에 있는데, 르네상스의 화가들은 눈에 보이는 거리감을 이 평면위에 표현하고 싶었다. 그래서 평면에 거리감을 구현해낼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투시도법이다. 말하자면, 철길처럼 나란히 달리는 두 직선이 저 멀리서는 한 점처럼 가까워지게 되는데.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평행하는 모든 면의 평행선이 수평선 위의 한 점에 모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 소실점이 그 점이다. 소실점이 두 개인 경우에는 2점 투시 원근법이라고 하기도 하고, 3점이면 3점 투시 원근법이라고 한다. 근데, 거리감을 나타내는 방법은 투시도법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공기원근법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다빈치가 가장 유명하다. 거리가 멀어질 수록, 그 사이에 공기가 많아져서 멀.. 2021. 11. 5. Langues de Chat(Cat tongue Cookie), 랑그드샤 언어를 뜻하는 Language라는 말은, 혀를 뜻하는 라틴어 Lingua에서 왔다. 그래서 모국어를 Mother Tongue이라고 하기도 하고, Mother Tongue Language라고 하기도. 1st Language라고 하기도. - 태어나서 처음 배운 말이니까. Chat는 고양이 Langues de Chat, 랑그드샤는 고양이의 혀라는 뜻이다. 어흥! 이 모양처럼 생겨서, 랑그드샤, 혹은 캣텅(Cat Tongue)쿠키라고 한다. 고양이로 만든 과자는 아니고, 모양만 일본 사람들도 많이 먹나본데, 고이비토가 유명하다. 일본 랑그드샤들은, 모양은 네모 모양이 많다. 애초에 랑그드샤는 모양에서 온 이름인데...맛만 가져왔나보다. 오스트리아의 Kufferle에서 1892년에 처음 만들었다.. 2021. 10. 27. Baker's Dozen, 예전에는 연필 12자루를 1다스 또는 타스라고. 그런데, Dozen은 그냥 12개를 뜻하는 말. 그런데, Baker's dozen은 13개라고, 빵만드는 사람들이 산수를 못하거나, 인심이 좋아서 하나씩 덤으로 준걸까? 중세시대에는 빵 덩어리의 무게가 정해져 있었는데, 빵을 덜 주면 무서운 벌을 줬던 모양. 그래서 안전을 위해 12개 짜리 빵에 1개씩 더 넣었다고 한다. 결국은 시스템.? 개인에게 친절이나 선의를 강요하기 보다는 좋은 제도가 만들어지는 것이 먼저.. 크리스피 도넛,오리지널 (더즌). 보고 있나? 하나 더 줘야 된다고! Why is 13 called a bakers dozen? Baker's dozen means 13, instead of 12. The tale behind i.. 2021. 10. 27. Icarus, 이카로스, 이카루스의 날개 크레타섬을 탈출하기로 결심한 다이달로스는 새의 날개에서 깃털을 모아 실로 엮고 밀랍을 발라 날개를 만들었다. 아들 이카로스에게 "너무 높이 날면 태양의 열에 의해 밀랍이 녹으니 너무 높이 날지 말고, 너무 낮게 날면 바다의 물기에 날개가 무거워지니 항상 하늘과 바다의 중간으로만 날아라!" 라고 주의를 주었다. 자유롭게 날게되나 이카로느는 너무 높게 날고 말았고, 밀랍이 녹아 날개를 잃고 바다에 떨어져 죽고 말았다고. 글쎄... 아직 과학이 덜 발달한 시대의 이야기여서일까? 높아질수록 추워지는데... 1000m 올라갈 때마다 대충 7C 정도씩 떨어진다. 올라갈 수록 날개가 얼 수는 있지만, 녹는 건...좀... 십이지장암.을 진단 받고 수술까지 받은 앙리 마티스는 움직이기도 힘.. 2021. 10. 27. Apoptosis - 에이팝토시스 or 아포토시스 누가 죽이지 않아도 세포가 저절로 사멸한다는 세포자멸사(Programmed cell death)를 발견한 과학자들은 여기에 Apoptosis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분리된다는 의미의 Apo에다 떨어진다는 의미의 Ptosis를 붙였다. 안검하수를 의미하는 그 Ptosis다. 구영탄 처럼 안검이 아래로 쳐지는 그것. 호주 퀸즈랜드 대학의 병리학자였던 John Kerr는 외상이 아닌 저절로 죽는 세포에 대해 발견하고, 스코트랜드 애버딘 대학의 초청을 받아 Alastair Currie, Andrew Wylie와 연구를 계속하게 되는데, 자신들이 발견한 것들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 애버딘 대학의 그리스어과 교수 James Cormack을 찾아갔다. 그리고 그가 이 이름을 제안했다고. Apoptosis... 2021. 10. 25. 一飯千金, 일반천금 무위도식하던 한 친구. 동네 촌장 집에서 맨날 밥을 얻어 먹다가 눈치를 주는 싸모때문에 집을 나왔는데, 마땅히 갈 곳이 없어 성 밖에 있는 회수에서 낚시만 줄 곧. 강가에 있던 아낙네가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며칠 동안 밥을 먹여줬는데. 얻어먹던 친구가 '나중에 꼭 보답할께욤' 그 말을 들은 아낙네는 주제도 모른다며 무안을 줬다나. 여차저차 우여곡절 끝에. 그 친구는 소질을 찾았는데. 그게 병법이었다나. 나중에 유방이 한나라를 세우는데 공을 세우고, 자신은 초나라의 왕에 봉해졌다. 그의 이름은 한신. 강가의 아낙네를 찾아가 천금을 주었고, 눈칫밥을 주는 촌장 싸모에게는 백금을 줬다고.. 그래서 一飯千金 밥 한 그릇의 은혜라는 '일반천금'이라는 고사가 생겼다. .. 내가 사준 밥 먹은.. 2021. 10. 25. 머핀탑. muffin-top, muffin top 머핀 좋아하시나요? 머핀 윗부분은 사진처럼 넓게 옆으로 흘러내려서요. 머핀 틀에서 빵을 구우면 머핀이 부풀어서 옆으로 흘러 넘치기 때문입니다. 이게 뱃살이 옷 위로 삐져나오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요. 타이트한 옷 위로 배가 옆으로 흘러 넘치는 걸 머핀-탑 이라고 한다고 해요. 비슷한가요? 2003년 중반에 호주에서 시작한 말이라고 하는데요. 그 뒤로 영어권 나라에서는 흔한 표현이 되었다고 합니다. 2006년에는 호주의 영어사전인 맥쿼리 딕셔너리에서 '올 해의 단어'로 뽑히기까지 했다고 해요. 같은 해에 the American Dialect Society에서도 '가장 창의적인 신조어(most creative new term)'으로 뽑혔다고 해요. "머핀탑"씨.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2021. 10. 21. Kouign-Amann, 꾸이냐만? 퀸 아망? 유럽에서 가장 기름진 패스트리.. 꾸이냐만(Kouign-amann) the fattiest pastry in all of Europe - NY Times 영국의 본토에 해당하는 그레이트 브리튼 Great Britan을 로마시대에는 브리타니아 Britania라고 했는데, 여기 원래 살던 켈트족인 브리튼인(Britons)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5-6세기에 앵글로색슨들이 브리튼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원래 주인이던 브리튼들이 북쪽과 서쪽으로 밀려나고, 일부는 바다를 건너 프랑스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들이 정착한 지역을 브리타니(Brittany) 혹은 그들이 원래 살던 섬 그레이트 브리튼보다 작은 레서 브리튼(Lesser Britain)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정식 지명은 '브르타뉴' Bre.. 2021. 10. 21. cul-de-sac 컬드색 프랑스어로 Bottom of a Sack이라는 뜻인데. Sack은 물건을 넣는 자루 같은 것. 해부학에서는 끝이 막혀있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James Douglas(1675-1742)는 스코틀랜드의 의사이면서 해부학자였고, 산부인과 의사였다고 한다. 이 사람이 자궁과 직장 사이에 공간을 발견하고, 여기에 이름을 붙이면서 Douglas Pouch 혹은 Douglas cul-de-sac라고 했다. 그림은 생략.. 너무 살색이라. 토목이나 건축에서는 막다른 길을 Cul-de-sac이라고 하는데. 주택 단지의 도로를 막다른 길로 조성하고, 끝 부분에 차량이 회전해서 나갈수 있도록 회차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이런식으로. 위에서보니 정말 파우치 모양 아님? 2021. 10. 18. Pont neuf, 뽕네프, 퐁네프.? Pons는 라틴어로 두 개의 통로를 연결하는 다리를 의미한다. 해부학에도 등장하는데, 다리의 의미를 그대로 써서. Pons를 뇌교라고 번역했다. 오른쪽 왼쪽 소뇌를 다리모양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 프랑스어 Pont는 여기서 온 말. 스페인언의 뿌엔떼도... 모두 다리라는 뜻. Nuef. 뇌프는 새로운 것이라는 뜻. 영어의 New. 뽕네프(Pont Neuf)는 새 다리라는 뜻. New Bridge 그런데 지금은 파리에서 가장 옛날 다리. 16세기. 파리 중심에 있는 시테섬. Ile de la Cite(City Island) 파리는 파리를 동서로 가르는 센강의 시테섬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시테섬에는 4개의 주요 다리가 있었다. 퐁노트르담(Pont Notre-Dame), 퐁오상주(Pon.. 2021. 10. 18. Turkish Delight, 터키시 딜라이트 터키시 딜라이트. 환각제나 마약이 아니라 사탕과 젤리의 중간 같은 군것질거리다. 죽기전에 먹어야 할 음식의 하나로 뽑힌적도 있다는데, 1001개 중에 901번째라니까.. 아는 음식을 하나씩 다 적어도 1000개 안 될거 같은데.. 먹으라는 얘기인지 아닌지는 잘.. (한국 대통령중에 20번째로 좋아한다. 같은 느낌?) 적어도 500년 전에 만들어졌다고 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달다구리 중 하나. 18세기 후반에 터키와 이란에서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썰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Abdul Hamid 술탄과 관련된 이야기. 제국 최고의 사탕 만드는 사람에게 4명의 와이프가 싸우지 않게 할 정도로 맛있는 것을 만들라고 지시했고, 그래서 만들어진 터키시 딜라이트의 효과.. 2021. 10. 15. Kwashiorkor, 단백질 영양실조, 콰시오커 자메이카의 소아과 의사인 Cicely Williams가 1935년에 이 병을 최초로 기술했다. 1893년에 태어나서 1992년에 사망했으니, 100년을 산 셈. 자메이카에서 태어났지만, 13살부터 영국에서 교육을 받는다. 자메이카에 허리케인과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자 부모님을 돕기위해 자메이카에 다시 돌아갔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나서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 옥스포드에 입학하고 의학공부를 시작했다. 그녀는 옥스포드에서 의학 공부를 할 수 있었던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인데, 그 이유는 세계대전으로 남학생이 부족했기 때문에 입학을 허가했기 때문이다. 전쟁이 끝나고 남학생들이 돌아오자 그녀는 영국에서 일을 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열대지방의 질병을 다시 공부해 지금의 가나에서 일을 했다. 이곳에서 그는 Kwa.. 2021. 10. 7. 이전 1 ··· 4 5 6 7 8 다음 728x90